[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예선 리뷰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예선에는 총 29개 팀이 참가하였는데 예선전은 1962년 6월부터 1964년 4월까지 진행되었다. 도중에 그리스가 알바니아와의 경기를 거부하면서 불참하였다.
[예비 예선]
예비 예선에는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소련이 부전승으로 다음 라운드(16강전)에 진출하였고, 나머지 26개 팀이 참가했다. [스웨덴, 노르웨이, 알바니아, 그리스, 덴마크, 몰타,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프랑스, 잉글랜드, 북아일랜드, 폴란드, 스페인,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 벨기에, 불가리아, 포르투갈, 헝가리, 웨일스, 네덜란드, 스위스,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이탈리아, 터키]
[스웨덴 vs 노르웨이]
- 1962년 6월 21일, 오슬로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스웨덴은 외르얀 마르틴손의 두 골(10분, 40분)에 힘입어 2-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 1962년 11월 4일, 말뫼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홈팀 스웨덴은 레프 에릭손(Leif Eriksson)이 49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원정팀 노르웨이 욘 크로그(John Krogh)가 60분에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1-1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스웨덴이 합산 성적 3-1로 16강에 진출하였다.
[알바니아 vs 그리스]
- 알바니아는 그리스와 예비예선을 치르게 되었지만 그리스가 알바니아와의 경기를 거부함으로 알바니아가 부전승으로 16강에 진출하였다.
[덴마크 vs 몰타]
- 1962년 6월 28일, 코펜하겐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덴마크는 올레 마센(Ole Madsen)이 9분과 14분에 득점을 성공하며 2-0으로 앞서나갔다. 이후 덴마크는 에위빈드 클라우센(Eyvind Clausen)이 22분에 세 번째 골을 성공시켜 3-0으로 앞서나갔고, 올레 마센이 네 번째 골을 성공시키며 4-0이 되었다. 몰타는 57분에 에디 테오발드(Eddie Theobald)가 한 골을 만회하였지만, 이후 71분에 헤닝 에녹센(Henning Enoksen), 80분에 카를 베르텔슨(Carl Bertelsen)이 추가로 득점하면서 덴마크가 6-1로 대승을 거두었다.
- 1962년 12월 8일, 그지라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덴마크는 올레 마센이 14분에 선제골을 넣으며 앞서갔지만 홈팀 몰타가 33분에 조시 우르파니(Joseph Urpani)가 동점골을 성공시켰다. 이후 원정팀 덴마크가 42분에 카를 에밀 크리스티안센(Carl Emil Christiansen)이 47분에 카를 베를텔슨(Carl Bertelsen)이 추가로 득점을 성공시키며 3-1로 승리하였다.
- 덴마크가 합산 성적 9-2로 16강에 진출하였다.
[아일랜드 vs 아이슬란드]
- 1962년 8월 12일, 더블린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홈팀 아일랜드는 11분에 리암 투오이(Liam Tuohy)가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앞서나갔다. 원정팀 아이슬란드는 37분에 리카뒤르 욘손(Ríkharður Jónsson)이 동점골을 넣었다. 이후 41분에 홈팀 아일랜드의 앰비 포가티(Amby Fogarty)가 득점을 성공시키며 2-1로 앞서나갔다. 이후 아일랜드의 노엘 캔트웰(Noel Cantwell)이 65분과 76분에 추가로 득점을 성공시키며 4-1로 앞서나갔다. 아이슬란드는 리카뒤르 욘손이 86분에 한골을 만회하였으나 4-2로 아일랜드가 승리하였다.
- 1962년 9월 2일, 레이캬비크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아일랜드는 리암 투오이가 38분에 한골을 성공시키며 앞서나갔다. 이후 홈팀 아이슬란드가 59분에 가르다르 아르나손(Garðar Árnason)이 동점골을 성공시켰고 1-1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아일랜드가 합산 성적 5-3으로 16강에 진출하였다.
[프랑스 vs 잉글랜드]
- 1962년 10월 3일, 셰필드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프랑스는 8분에 이본 구종(Yvon Goujon)의 선제골로 앞서가다가 57분 잉글랜드의 론 플라워스(Ron Flowers)에게 페널티킥을 허용하며 1-1로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1963년 2월 27일, 파리에서는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홈팀 프랑스는 마랸 비스니에스키(Maryan Wisnieski)의 두 골(3분, 75분), 이본 두이(Yvon Douis)의 한 골(32분), 뤼시앵 코수(Lucien Cossou)의 두 골(43분, 82분)로 다섯점을 득점하였으며, 원정팀 잉글랜드는 57분 보비 스미스(Bobby Smith), 74분 보비 탬블링(Bobby Tambling)이 두점을 득점하였다. 프랑스가 5-2로 대승을 거두었다.
- 프랑스가 합산 성적 6-3으로 16강에 진출하였다.
[북아일랜드 vs 폴란드]
- 1962년 10월 10일, 호주프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북아일랜드는 17분 데릭 두건(Derek Dougan)의 선제골과 54분에 빌리 험프리스(Billy Humphries)의 추가골로 2-0으로 승리하였다.
- 1962년 11월 28일, 벨파스트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홈팀 북아일랜드는 8분에 조니 크로산(Johnny Crossan)의 선제골과 63분에 빌리 빙햄(Billy Bingham)의 추가골로 2-0으로 승리하였다.
- 북아일랜드가 합산 성적 4-0으로 16강에 진출하였다.
[스페인 vs 루마니아]
- 1962년 11월 1일, 마드리드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스페인은 빈센테 귈롯(Vicente Guillot)의 세 골(7분, 27분, 70분)과 호세 루이스 벨로소(José Luis Veloso)의 득점(9분), 엔리케 코야르(Enrique Collar)의 득점(17분), 그리고 루마니아의 이온 눈벨러(Ion Nunweiller)의 자책골(81분)로 6-0의 대승을 거두었다.
- 1962년 11월 25일,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홈팀 루마니아는 니콜라에 타타루(Nicolae Tătaru)가 2분만에 선제골을 넣었고, 8분에는 시세로네 마놀라체(Cicerone Manolache)가 두 번째 골을 성공시켰으며, 61분에는 게오르게 콘스탄틴(Gheorghe Constantin)이 세 번째 골을 성공시키며 3-0으로 앞서나갔다. 스페인이 70분에 호세 루이스 벨로소(José Luis Veloso)가 한 골을 만회하였으나 루마니아의 3-1 승리로 끝났다.
- 스페인이 합산 성적 7-3으로 16강에 진출하였다.
[유고슬라비아 vs 벨기에]
- 1962년 11월 4일,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유고슬라비아는 요시프 스코블라르(Josip Skoblar)가 12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벨기에의 자크 스탁맨(Jacques Stockman)이 26분에 동점골을 넣었다. 이후 유고슬라비아의 요시프 스코블라르가 32분에 페널티킥 득점으로 다시 한 점을 앞서갔지만 58분에 벨기에의 아먼드 주리온(Armand Jurion)이 다시 동점골을 넣었다. 유고슬라비아는 벨리보르 바소비치(Velibor Vasović)가 경기 종료 전(89분)에 득점을 성공시키며 3-2로 승리를 거두었다.
- 1963년 3월 31일, 브뤼셀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제1회 대회 결승전의 첫 골을 넣었던 유고슬라비아의 밀란 갈리치(Milan Galić)가 21분에 골을 성공시키며 1-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 유고슬라비아가 합산 성적 4-2로 16강에 진출하였다.
[불가리아 vs 포르투갈]
- 1962년 11월 7일, 소피아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불가리아는 후반 초반(49분)에 에우제비우(Eusébio)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으나, 이후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Georgi Asparuhov)가 두 골(65분, 76분), 토도르 디드이에프(Todor Diev)가 한골(84분)을 성공시키며 3-1로 승리를 거두었다.
- 1962년 12월 16일, 리스본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홈팀 포르투갈의 에르나니 시우바(Hernâni Silva)가 두 골(4분, 26분) 그리고 마리우 콜루나(Mário Coluna)가 53분 한 골을 추가하면서 3-0으로 리드하였다. 이 상태로 끝나면 포르투갈이 합산 성적 4-3으로 16강에 진출하게 될 것이었으나 원정팀 불가리아는 흐리스토 일리에프(Hristo Iliev)가 83분에 한골을 만회하면서 포르투갈의 3-1 승리가 되었다. 양 팀의 합산 성적은 4-4로 동률을 이루었기 때문에 중립지역에서 세 번째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 1963년 1월 23일에 이탈리아의 로마에서 열린 세 번째 경기에서 경기 막판에 불가리아의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가 득점에 성공하면서(87분) 1-0으로 승리하였다.
- 불가리아가 합산 성적 5-4로 16강에 진출하였다.
[헝가리 vs 웨일스]
- 1962년 11월 7일,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헝가리는 경기 시작 5분만에 얼베르트 플로리안(Flórián Albert)이 득점에 성공하면서 1-0으로 앞서나갔다. 웨일스가 19분에 테리 메드윈(Terry Medwin)이 동점골을 넣었다. 이후 헝가리는 34분에 러요시 티치(Lajos Tichy), 48분에 카로이 샨도르(Károly Sándor)가 골을 성공시키며 3-1로 승리를 거두었다.
- 1963년 3월 20일), 카디프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헝가리는 23분에 웨일스의 클리프 존스(Cliff Jones)에게 페널티골로 한점을 허용했지만, 77분에 러요시 티치가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며 1-1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헝가리가 합산 성적 4-2로 16강에 진출하였다.
[네덜란드 vs 스위스]
- 1962년 11월 11일,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네덜란드는 11분에 토니 반 데르 린덴(Tonny van der Linden)이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앞서나갔다. 전반 42분에 스위스의 찰리 헤르틱(Charly Hertig)이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1-1이 되었다. 후반에 들어서 네덜란드는 74분에 샤크 스와트(Sjaak Swart), 76분에 헹크 그루트(Henk Groot)가 연속으로 득점에 성공하며 3-1로 승리를 거두었다.
- 1963년 3월 31일, 베른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네덜란드가 6분에 피트 크라위버(Piet Kruiver)가 선제골을 성공시키며 1-0으로 앞서나갔으나 스위스의 안톤 알레만(Anton Allemann)이 37분에 동점골을 성공시켜서 1-1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네덜란드가 합산 성적 4-2로 16강에 진출하였다.
[동독 vs 체코슬로바키아]
- 1962년 11월 21일, 동베를린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동독의 디터 얼러(Dieter Erler)가 60분에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앞서나갔다. 이후 동독의 쿠루트 리브레히트(Kurt Liebrecht)가 80분에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며 2-0으로 앞서 나갔다. 체코슬로바키아가 루돌프 쿠체라(Rudolf Kučera)가 종료직전(90분)에 한골을 만회하였으나 결과는 동독이 2-1로 승리하였다.
- 1963년 3월 31일, 프라하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홈팀 체코슬로바키아의 바츨라프 마세크(Václav Mašek)가 66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85분에 동독의 피터 듀크(Peter Ducke)가 동점골을 넣으며 1-1로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동독이 합산 성적 3-2로 16강에 진출하였다.
[이탈리아 vs 터키]
- 1962년 12월 2일, 볼로냐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이탈리아는 잔니 리베라(Gianni Rivera)가 두 골(15분, 47분)을 성공시켰고, 알베르토 오를란도(Alberto Orlando)가 네 골(22분, 29분, 35분, 85분)을 성공시키며 6-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 1963년 3월 27일, 이스탄불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이탈리아는 안젤로 소르마니(Angelo Sormani)가 86분에 골을 성공시키며 1-0으로 승리하였다.
- 이탈리아가 합산 성적 7-0으로 16강에 진출하였다.
[16강전]
참가팀 : 스페인, 북아일랜드, 유고슬라비아, 스페인, 덴마크, 알바니아,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불가리아, 프랑스, 소련, 이탈리아, 동독, 헝가리]
[스페인 vs 북아일랜드]
- 1963년 5월 30일, 빌바오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스페인의 아만시오 아마로(Amancio Amaro)가 60분에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앞서나갔으나 76분에 북아일랜드의 윌리 어빈(Willie Irvine)이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1-1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1963년 10월 30일, 벨파스트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헨토(Paco Gento)가 66분에 선제골이자 결승골을 성공시키며 1-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 스페인이 합산 성적 2-1로 8강에 진출하였다.
[유고슬라비아 vs 스웨덴]
- 1963년 6월 19일,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유고슬라비아와 스웨덴은 0-0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1963년 9월 18일, 말뫼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유고슬라비아의 슬라벤 잠바타(Slaven Zambata)가 21분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앞서나갔다. 홈팀 스웨덴의 외르얀 페르손(Örjan Persson)이 30분과 60분에 연속으로 골을 성공시키며 2-1로 역전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곧바로 유고슬라비아의 밀란 갈리치(Milan Galić)가 64분에 다시 동점골을 넣었다. 스웨덴은 72분에 해리 빌드(Harry Bild)가 세 번째 골을 성공시키며 3-2로 승리를 거두었다.
- 스웨덴이 합산 성적 3-2로 8강에 진출하였다.
[덴마크 vs 알바니아]
- 1963년 6월 29일, 코펜하겐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덴마크는 옌스 페테르센(Jens Petersen)의 페널티킥 득점(18분)을 시작으로, 25분 올레 마센(Ole Madsen), 36분 에위빈드 클라우센(Eyvind Clausen), 49분 헤닝 에녹센(Henning Enoksen)이 골을 넣으며 4-0로 승리하였다.
- 1963sus 10월 30일, 티라나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홈팀 알바니아는 전반 3분에 파나요트 파노(Panajot Pano)의 선제골을 끝까지 지키며 1-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 덴마크가 합산 성적 4-1로 8강에 진출하였다.
[네덜란드 vs 룩셈부르크]
- 1963년 9월 11일,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네덜란드는 전반 5분에 클라스 누닝아(Klaas Nuninga)가 선제골을 기록하였으나 33분에 원정팀 룩셈부르크의 파울 메이(Paul May)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며 1-1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1963년 10월 30일, 로테르담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홈팀 룩셈부르크는 카미유 딤머(Camille Dimmer)의 선제골(20분)로 1-0으로 앞서나갔다. 이후 원정팀 네덜란드의 피트 크라위버(Piet Kruiver)가 35분에 동점골을 넣었으나, 67분에 다시 룩셈부르크의 카미유 딤머가 결승골을 넣으며 룩셈부르크가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 룩셈부르크가 합산 성적 3-2로 8강에 진출하였다.
[오스트리아 vs 아일랜드]
- 1963년 9월 25일, 비엔나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는 양팀 득점 없이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1963년 10월 13일, 더블린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원정팀 오스트리아의 발터 콜레즈닉이 38분에 선제골을 넣으며 앞서나갔다. 그러나 홈팀 아일랜드는 노엘 캔트웰(Noel Cantwell)이 45분에 동점골을 넣었고, 앰비 포가티(Amby Fogarty)가 역전골을 넣으며 아일랜드가 2-1로 앞서나갔다. 오스트리아는 루디 플뢰겔(Rudi Flögel) 85분에 다시 동점골을 넣으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그런데 종료 직전에 아일랜드가 페널티킥을 얻었고 이것을 노엘 캔트웰이 성공시키며 아일랜드가 3-2로 승리를 거두었다.
- 아일랜드가 합산 성적 3-2로 8강에 진출하였다.
[불가리아 vs 프랑스]
- 1963년 9월 29일 소피아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불가리아는 토도르 디드이에프(Todor Diev)가 24분에 넣은 골을 끝까지 지키면서 1-0으로 승리하였다.
- 1963년 10월 26일 파리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홈팀 프랑스는 이본 구종(Yvon Goujon)이 전반 종료 직전인 44분에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앞서나갔다. 반격에 나선 불가리아가 75분에 디미터르 야키모프(Dimitar Yakimov) 동점골을 넣었으나 이후 프랑스의 로베르 에르벵(Robert Herbin)이 78분에 다시 앞서는 골을 성공시켰고, 이본 구종이 81분에 쐐기골을 넣으면서 프랑스가 3-1로 승리를 거두었다.
- 프랑스가 합산 성적 3-2로 8강에 진출하였다.
[소련 vs 이탈리아]
- 1963년 10월 13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소련은 빅토르 포넬델니크(Viktor Ponedelnik)가 22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이고리 치슬렌코(Igor Chislenko)가 42분에 추가골을 넣으며 2-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 1973년 11월 10일, 로마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소련은 겐나디 구사로프(Gennadi Gusarov)가 33분에 선제골을 넣었다. 이탈리아는 종료 직전인 89분에 잔니 리베라(Gianni Rivera)가 동점골을 넣으며 1-1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소련이 합산 성적 3-1로 8강에 진출하였다.
[동독 vs 헝가리]
- 1963년 10월 19일, 동베를린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헝가리는 페렌츠 베네(Ferenc Bene)가 18분에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앞서갔다. 동독은 51분에 위르겐 뇔트너(Jürgen Nöldner)가 동점골을 넣었으나 88분에 헝가리의 줄러 라코시(Gyula Rákosi)가 득점에 성공하며 헝가리가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 1963년 11월 3일,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홈팀 헝가리는 페렌츠 베네가 7분에 선취골을 성공시키며 앞서나갔으나 곧바로 12분에 동독의 베르너 하이네(Werner Heine)가 동점골을 성공시켰다. 헝가리의 카로이 샨도르(Károly Sándor)가 득점에 성공하며 헝가리가 2-1로 앞서 나갔다. 동독은 롤랜드 듀크(Roland Ducke)가 26분에 다시 동점골을 넣었다. 헝가리의 에르뇌 솔리모시(Ernő Solymosi)가 51분에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며 다시 3-2로 앞서나갔다. 동독은 81분에 디터 얼러(Dieter Erler)가 동점골을 다시 성공시키며 3-3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헝가리가 합산 성적 5-4로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전]
참가팀 : 룩셈부르크, 덴마크, 스페인, 아일랜드, 프랑스, 헝가리, 스웨덴, 소련
[룩셈부르크 vs 덴마크]
- 1963년 12월 4일,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인 룩셈부르크는 루이 필로가 1분에 선제골을 성공시켰다. 덴마크는 올레 마센(Ole Madsen)이 9분에 동점골을 넣었다. 룩셈부르크의 헨리 클레인(Henri Klein)이 23분에 득점에 성공하며 다시 룩셈부르크가 2-1로 앞서나갔다. 덴마크의 올레 마센이 다시 31분에 동점골을 넣으며 스코어는 2-2가 되었다. 이후 올레 마센은 46분에 역전골을 성공시켰다. 그런데 룩셈부르크는 51분에 헨리 클레인이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3-3 무승부를 이루었다.
- 1963년 12월 10일, 코펜하겐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룩셈부르크는 조니 레오나드(Johny Léonard)가 13분에 선제골을 넣었다. 그러나 곧바로 홈팀 덴마크는 올레 마센이 16분에 동점골을 넣었다. 이후 올레 마센은 70분에 역전골을 성공시켰다. 그리고 84분에 룩셈부르크는 애디 슈미트(Ady Schmit)이 다시 동점골을 넣으며 2-2로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양팀이 합산 성적 5-5로 동률을 이루었기 때문에 중립지역에서 세 번째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 1963년 12월 18일,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세 번째 경기에서는 덴마크의 올레 마센이 41분에 골을 성공시키며 1-0으로 승리하였다.
- 덴마크는 합산 성적 6-5로 ‘1964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덴마크의 올레 마센은 3경기에서 6골을 혼자서 다 넣었다.
[스페인 vs 아일랜드]
- 1964년 3월 11일, 세비야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홈팀 스페인은 12분에 아만시오 아마로(Amancio Amaro)의 선제골과 15분에 조세프 마리아 푸스테(Josep Maria Fusté)의 추가골로 2-0으로 앞서나갔다. 아일랜드는 22분에 앤디 매커보이(Andy McEvoy)가 한골을 만회하며 2-1로 추격하였다. 그러나 스페인은 29분에 아만시오 아마로가 한골을 더 넣었고, 마르셀리노 마르티네스(Marcelino Martínez)가 두 골(33분, 89분)을 더 넣으면서 5-1로 대승을 거두었다.
- 1964년 4월 8일, 더블린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스페인은 페드로 사바야 Pedro Zaballa가 22분과 88분에 골을 성공시키며 2-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 스페인이 합산 성적 7-1로 ‘1964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프랑스 vs 헝가리]
- 1964년 4월 25일, 파리에서 열린 첫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헝가리는 얼베르트 플로리안(Flórián Albert)이 15분경 선제골을 넣었고, 곧바로 러요시 티치(Lajos Tichy)가 16분에 추가골을 넣으면서 2-0으로 앞서나갔다. 헝가리는 70분에 러요시 티치가 한골을 추가하면서 3-0으로 앞서나갔고, 홈팀 프랑스는 뤼시앵 코수(Lucien Cossou)가 73분에 한골을 만회하는데 그쳤다. 헝가리가 3-1로 승리를 거두었다.
- 1964년 5월 23일,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프랑스는 시작한지 2분 만에 네스토 콤빈(Néstor Combin)이 선제골을 넣으며 1-0으로 앞서갔지만 헝가리는 24분에 페렌츠 시포츠(Ferenc Sipos)가 동점골을 넣었다. 이후 헝가리는 페렌츠 베네(Ferenc Bene)가 역전골을 성공시키며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 헝가리가 합산 성적 5-2로 ‘1964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스웨덴 vs 소련]
- 1964년 5월 13일, 스톡홀름에 있는 솔나에서 진행된 첫 번째 경기에서 원정팀 소련이 62분에 발렌틴 이바노프(Valentin Ivanov)의 선제골로 앞서나가다가 종료 직전 88분에 홈팀 스웨덴의 쿠르트 함린(Kurt Hamrin)에게 동점골을 허용하면서 1-1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 1964년 5월 27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경기에서 소련은 빅토르 포넬델니크(Viktor Ponedelnik)가 32분과 56분에 골을 성공시키며 2-0으로 앞서나갔다. 스웨덴의 쿠르트 함린이 78분 한골을 만회하였지만, 소련은 발레리 보로닌(Valery Voronin)이 83분에 쐐기골을 성공시키며 3-1로 승리를 거두었다.
- 소련이 합산 성적 4-2로 ‘1964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축구 이야기] > [기타 축구 대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72년 제4회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서독, 최강의 팀으로 등장하다 (0) | 2021.09.23 |
---|---|
[1968년 제3회 유럽축구선수권대회] 이탈리아, 30년만에 메이저 대회 우승을 차지하다. (0) | 2021.09.23 |
[1964년 제2회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스페인, 디팬딩 챔피언 소련을 제압하다! (0) | 2021.09.22 |
[1960년 제1회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소련, 유럽 축구의 첫 번째 챔피언이 되다! (0) | 2021.09.20 |
유럽 축구선수권 대회의 역사 (0) | 2021.09.13 |